9월 7-8일 개기월식 완벽 관측 가이드 — 서울 기준 시간표·촬영 팁·관측 포인트 한 번에!
안녕하세요 여러분! 하늘 보다가 “어, 달이 왜 갑자기 붉어지지?” 하고 놀라신 적 있으신가요?
오는 9월 7일 밤부터 8일 새벽 사이, 한국 전역에서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완전히 들어가는 개기월식이 펼쳐집니다.
복잡한 천문학은 제가 정리할게요. 이 글 하나면 언제, 어디서, 어떻게 보면 가장 멋진 블러드문을 만날 수 있는지, 그리고 스마트폰으로도 예쁘게 남기는 법까지 알차게 챙겨가실 수 있어요. 같이 설레는 새벽을 준비해볼까요?
🌕 TIP: 흐린 날씨가 걱정된다면 주변 과학관·천문대의 공개 관측회 여부를 미리 확인해 보세요. 맑은 하늘을 만나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 목차
참고: 한국천문연구원(KASI) 보도자료(9/1) — 9월 8일 개기월식 예보, timeanddate — 2025-09-07 개기월식 개요
한국천문연구원
KMTNet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지구형 외계행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KMTNet 과제를 시작하였으며, 1.6m 광시야 망원경과 모자이크 CCD 카메라를 남반구의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www.kasi.re.kr
이번 개기월식 한눈에 보기 🌕

서울 독자분들 반가워요! 이번 개기월식은 9월 8일(월) 새벽에 서울 전역에서 전 과정이 관측 가능한, 보기 드문 “풀 코스” 이벤트예요.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엄브라)에 완전히 들어가 붉은 블러드문으로 물드는 개기 구간이 약 82분이나 이어지고, 전체 월식은 약 5시간 27분 동안 진행됩니다.
서울 기준으로는 남→남서→서남서→서쪽 하늘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도도 적당해서 도심에서도 비교적 관측이 쉽습니다. 빛공해가 적은 강변이나 공원, 옥상처럼 시야가 트인 곳에서 보면 최고의 조건을 얻을 수 있어요.
더 자세한 서울 월식 시간표와 관측 포인트, 안전 수칙, 촬영 팁은 아래에서 이어서 정리해 드릴게요. 이번 글의 핵심 키워드: 서울 개기월식 시간, 블러드문 관측, 9월 8일 월식입니다.
서울 기준 관측 시간표 & 가시성 🕒

아래 표는 서울(대한민국 표준시, KST) 기준 9월 8일(월) 새벽 월식의 단계별 시각·방향·고도를 정리한 것이에요.
실측 위치(동네·건물·지형)에 따라 ±1~2분 오차와 고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현장에서 5~10분 일찍 준비해 주세요. 서울 개기월식 시간을 미리 저장해두면 블러드문 타이밍을 놓치지 않아요!
시각(KST) | 진행 단계 | 방향 | 고도(°) |
---|---|---|---|
00:28 | 반영월식 시작 | 남쪽(181°) | 45.0 |
01:27 | 부분월식 시작 | 남남서(200°) | 43.1 |
02:30 | 개기월식 시작 | 남서(219°) | 37.1 |
03:11 | 개기월식 최대 | 남서(229°) | 31.7 |
03:52 | 개기월식 종료 | 서남서(238°) | 25.4 |
04:56 | 부분월식 종료 | 서남서(250°) | 14.6 |
05:55 | 반영월식 종료 | 서쪽(259°) | 4.0 |
참고 출처: timeanddate(서울 상세), 한국천문연구원 보도자료
※ 일부 매체는 초 단위 표기를 포함(예: 02:30:24 시작, 03:11:48 최대, 03:53:12 종료)하며, 표의 분 단위 값과 사실상 동일합니다.
어디서·어떻게 보면 좋을까? 준비물/안전 ✔️

관측 장소는 시야가 트이고 가로등 빛이 적은 곳이 좋아요. 서울이라면 한강공원(여의도·이촌·뚝섬), 월드컵공원 하늘공원, 남산 북측 순환로 전망지처럼 남~서쪽 하늘이 충분히 보이는 장소를 추천합니다.
이동 시간을 고려해 최소 30분 일찍 도착해 눈을 어둠에 적응시키고, 돗자리·얇은 바람막이·미지근한 음료를 준비하면 새벽 체감 온도에도 편안해요. 해가 뜨기 전 마지막 구간(05:30 이후)은 달 고도가 낮고 서쪽 지평선에 가까워지니, 건물·나무에 가리지 않는 곳을 고르세요.
장비는 필수는 아니지만 8×42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60~80mm 굴절)만 있어도 달 표면의 붉은 농도 변화와 티코·코페르니쿠스 등 크레이터 대비를 또렷하게 보실 수 있어요.
안전/에티켓은 기본이죠. 일식과 달리 개기월식은 보호장비 없이 육안 관측 안전합니다. 다만, 삼각대·짐으로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정리하고, 레이저 포인터는 비행기/주변에 위험할 수 있으니 삼가 주세요.
관측 전 기상 확인은 필수! 기상청 동네예보로 구름량을 확인하고, 대체 장소를 1~2곳 준비하면 성공 확률이 확 올라갑니다.
기상청 날씨누리
기상청 날씨누리
www.weather.go.kr
왜 달이 붉어질까? 과학으로 이해하기 🔬

개기월식 동안 달이 사라지지 않고 붉은 블러드문으로 보이는 핵심 이유는 지구 대기에서의 레일리 산란과 굴절 때문이에요.
태양빛이 지구 대기를 통과할 때 파장이 짧은 푸른빛은 강하게 산란되어 우주로 흩어지고, 파장이 긴 붉은빛은 상대적으로 덜 산란되어 지구 그림자 속으로 휘어 들어갑니다.
이 붉은빛이 지구 본그림자(엄브라) 안의 달 표면을 간접 조명하면서 우리가 보는 달빛의 색이 붉게 변하죠. 그래서 대기 중 먼지·에어로솔이 많으면 더 어둡고 진한 적색, 공기가 맑으면 밝은 구리색에 가까워집니다.
개기월식의 밝기 평가는 다니옹 척도(Danjon scale, L=0~4)로 표시하는데, L0는 거의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어두운 적갈색, L4는 밝고 구릿빛에 가까운 붉은 오렌지색이에요.
이번 9월 7–8일 개기월식은 달이 본그림자 중심부를 깊게 통과하는 대형 월식으로 총 지속시간이 길어 색 변화 관찰에도 매우 유리합니다. 서울 개기월식 관측을 계획하신다면, 부분→개기→부분 구간을 연속으로 보며 붉은 농도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기록해 보세요.
🔎 관찰 팁: 흰 종이를 들고 달빛으로 비춰보면 붉은색 성분이 더 뚜렷하게 느껴져요. 레일리 산란 쉽게 이해하기 글도 함께 확인해 보세요.
사진 잘 찍는 법: 스마트폰·카메라 설정 📷

개기월식은 특수 필터 없이 촬영 가능한 천문 이벤트예요. 다만 개기 구간은 달이 매우 어두워지므로 노출을 충분히 주는 것이 포인트예요. 아래 표는 서울 기준으로 초보~중급자를 위한 권장값을 정리한 것이며, 하늘 밝기·대기 상태에 따라 ±1~2스톱 범위에서 조정하세요.
상황 | 스마트폰(야간/프로) | 미러리스/DSLR | 비고 |
---|---|---|---|
부분월식 시작(01:27~) | ISO 200~800, 1/250~1/1000s, 초점 무한대 | ISO 100~400, f/5.6~8, 1/250~1/1000s, 200~600mm | 달이 아직 밝음. 흔들림 방지 위해 삼각대 권장. |
개기 시작(02:30~) | ISO 800~1600, 1/4~1s, 노출고정·타이머 3s | ISO 800~1600, f/4~5.6, 1/2~1s, 삼각대· | 달이 급격히 어두워짐. 브라케팅 촬영 추천. |
개기 최대(03:11) | ISO 1600~3200, 1~4s, 삼각대 필수 | ISO 1600~3200, f/2.8~4, 1~4s, 릴리즈·미러락업 | 별 궤적 방지 위해 2초 이내부터 테스트. |
개기 종료~부분 종료(03:52~04:56) | ISO 400~800, 1/30~1/250s, 연사로 변화 기록 | ISO 200~400, f/5.6~8, 1/60~1/500s | 밝기 회복. 연속 타임랩스 추천. |
구도는 달만 꽉 채우기보다 한강다리·스카이라인 등을 포함하면 스토리가 생겨요. 화이트밸런스는 4000~5200K부터 시작, JPG+RAW 동시 저장을 추천합니다.
다음 월식 일정 & 체크리스트 📅

“이번을 놓치면 언제 또 볼 수 있을까?” — 한국에서 가시성이 좋은 다음 월식 일정을 간단히 정리했어요. (시간·가시성은 지역·기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 2026년 3월 3일 — 개기월식 (한국 가시성 표기, 지역별로 전 과정 또는 일부 관측 가능)
- 2027년 2월 20일 — 반영월식 (변화가 미묘해 쌍안경 권장)
- 2028년 7월 6일 — 부분월식 (달 표면에 지구 그림자 경계가 그려짐)
- 2028년 12월 31일 — 개기월식 (연말 블러드문 기대)
참고로 월식 뒤 약 2주 후에는 부분일식(2025년 9월 21일, 주 가시지역: 뉴질랜드·남태평양·남극 등)이 이어집니다. 한국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라이브 스트림으로 즐길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관측 체크리스트를 저장해두세요!
▷ 위치 스카우팅(서쪽 지평선 트임) ▷ 기상·구름량 확인 ▷ 삼각대·쌍안경 ▷ 따뜻한 외투·돗자리 ▷ 보조배터리 ▷ 서울 개기월식 시간표 알람 설정
timeanddate.com
Current Weather Weather forecast for the next hour, today, tomorrow, and 14 days ahead.
www.timeanddate.com
✨ 개기월식 FAQ — 서울 관측러를 위한 실전 Q&A
서울에서 보는 9월 7–8일 개기월식, 마지막으로 궁금한 점들을 한 번에 정리했어요.
장소·시간·촬영·안전까지 핵심만 콕 집어 알려드릴게요. 검색에 잘 잡히는 롱테일 키워드도 자연스럽게 반영했습니다.
- 서울 개기월식 정확한 시간표가 궁금해요. 언제 나가야 하나요? (롱테일: 서울개기월식시간표,9월8일월식서울)
서울은 9월 8일(월) 00:28 반영 시작부터 진행돼요.
핵심 구간은 02:30 개기 시작 → 03:11 최대 → 03:52 개기 종료예요.
최소 02:15 이전에는 자리에 도착해 어두움 적응을 시작하세요. 자세한 분 단위 표시는 timeanddate 서울 페이지와 한국천문연구원 공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맨눈으로 봐도 안전한가요? 아이들과 함께 관측해도 되나요? (롱테일: 개기월식맨눈관측안전,블러드문안전)
네, 안전합니다. 일식과 달리 월식은 태양 직접 관측이 아니라서 보호 필터 없이 맨눈 관측이 가능해요.
다만 새벽 기온이 낮으니 겹겹이 보온하고, 한강변 등 야외에서는 돗자리·따뜻한 음료·휴지를 챙기면 좋아요. 아이들과는 가로등·자전거 도로 주변 안전에 유의하세요. - 서울 도심에서 어디가 좋아요? 빛공해가 있어도 보이나요? (롱테일: 서울월식명당,한강에서월식보기)
월식은 상대적으로 밝은 달 대상이라 도심 빛공해 속에서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여의도·이촌·뚝섬 한강공원, 하늘공원, 남산 북측 전망처럼 서쪽 지평선이 트인 곳을 추천해요.
고도가 낮아지는 04:30 이후에는 건물·나무에 가릴 수 있으니 장애물이 없는 위치를 미리 스카우팅하세요. - 스마트폰으로 월식 촬영하려면 어떻게 설정하나요? (롱테일: 월식촬영스마트폰설정,블러드문사진팁)
삼각대를 쓰고, 프로/야간 모드에서 ISO 800~1600, 셔터 1/2~2초로 시작해요.
개기 최대에는 ISO 1600~3200, 1~4초까지 테스트하고, 타이머 3초나 리모컨으로 흔들림을 줄이세요.
수동 초점(∞), WB 4000~5200K, 노출 브라케팅을 활용하면 성공률이 확 오릅니다. 촬영 심화는 천체사진 입문 가이드 참고. - 날씨가 흐리면 대안이 있을까요? 라이브 관측은 어디서 보나요? (롱테일: 월식실시간중계,서울날씨흐릴때관측)
구름이 많다면 실시간 중계를 함께 보세요. timeanddate 라이브, 국내 과학관·천문대 유튜브 채널에서 중계가 열릴 수 있어요.
서울 주변 기상은 기상청 동네예보에서 운량(하늘상태)을 확인하고, 바람 하류 방향으로 10~20km 이동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다음 개기월식은 언제인가요? (롱테일: 다음개기월식한국,사로스주기)
한국에서 가시성이 좋은 다음 일정은 2026년 3월 3일 개기월식이에요.
월식 반복 규칙인 사로스 주기(약 18년 11일)를 함께 보면 큰 흐름을 이해하기 쉬워요. 최신 예보는 한국천문연구원과 NASA GSFC 월식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NASA - Lunar Eclipse Page
Lunar Eclipse Page eclipse.gsfc.nasa.gov/lunar.html <!-- Lunar Eclipses of 2016 Penumbral Lunar Eclipse 2016 Mar 23 Penumbral Lunar Eclipse 2016 Sep 16 --> Lunar Eclipses: Past and Future The following links give information of all eclipses of the Sun and
eclipse.gsfc.nasa.gov
timeanddate.com
Current Weather Weather forecast for the next hour, today, tomorrow, and 14 days ahead.
www.timeanddate.com
마무리 & 공유 — 오늘 밤, 서울 하늘에서 만나요 🌕
오늘 안내해 드린 서울 개기월식 관측 가이드가 도움이 되었나요? 이번 9월 7–8일의 블러드문은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 우리가 같은 하늘을 올려다보며 시간을 함께 기록하는 특별한 순간이에요.
여러분만의 관측 장소, 성공/실패 팁, 촬영 세팅값을 댓글로 남겨 주세요. 여러분의 경험이 다음 독자에게 큰 도움과 동기부여가 됩니다. 가족·친구와도 이 글을 공유해서 “하늘 약속”을 잡아 보세요. 맑은 하늘을 기원합니다! 🌙✨
아래 버튼으로 글을 지인과 공유해 보세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함께 2025 한강 드론 라이트 쇼 (0) | 2025.09.05 |
---|---|
교통카드 충전, 현금 없이 OK! 카드결제 키오스크 전면 도입 (0) | 2025.09.03 |
인구소멸 위기 6개 군, 주민에게 월 15만 원 지역화폐 지급…누가 대상이고, 왜? (9) | 2025.08.29 |
청년 국민연금 3개월 무료! 놓치면 손해인 정부 지원제도 (5) | 2025.08.25 |
‘감액 없는 연금’의 시대, 509만 원 기준이 중요한 이유 (2)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