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2025 교육 소외계층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 : 서울시 기준으로 알아보는 신청 방법과 혜택

by MOMOS_diary 2025. 4. 27.
반응형

 

2025 교육 소외계층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 : 서울시 기준으로 알아보는 신청 방법과 혜택

교육 소외계층을 위한 2025 교육 소외계층 평생교육 이용권(구 평생교육바우처) 지원사업이 시작됩니다!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등 교육 기회에서 소외된 분들에게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교육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교육부에서 각 지자체(서울시 등)로 사업이 이관되어 지역별로 운영되니, 세부 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이 글에서는 서울시 기준으로 지원 대상, 혜택, 신청 방법 등을 자세히 정리했습니다.

1. 2025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사업이란?

교육 소외계층 평생교육 이용권 지원사업은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등 교육 기회에서 소외된 분들에게 평생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국가(교육부)에서 각 지자체로 사업 주체가 이관되어 지역별로 운영됩니다. 서울시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노인 등을 대상으로 연간 35만 원의 교육비를 지원하며, 자격증, 어학, 창업, 인문학 등 다양한 강좌 수강료와 교재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지원 대상 및 유형

2025년 평생교육 이용권은 지원 대상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며, 중복 지원은 불가합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세한 대상과 유형을 확인하세요.

유형 지원 대상 비고
일반 이용권 19세 이상 성인 중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수당·장애인연금·한부모가족 포함
장애인 이용권 19세 이상 등록 장애인 -
디지털 이용권 30세 이상 성인(디지털 평생교육 수요자) 6월 중 별도 모집
노인 이용권 65세 이상 성인 6월 중 별도 모집

중복 지원 불가: 네 가지 유형 중 하나만 신청 가능합니다.

3. 지원 내용 및 사용처

지원 금액

  • 1인당 연간 35만 원(카드 포인트로 지급).
  • 초과 비용(35만 원 초과 시)은 본인 부담.

사용처

  • 평생교육이용권 사용기관(서울 및 타 시·도 가능)에서 사용 가능.
  • 자격증, 어학, 창업, 인문학 등 다양한 강좌 수강료 및 해당 강좌 교재비로 사용.

사용 제한

  • 강좌 수강 없이 교재만 구매 불가.
  • 유·무선 전자·통신기기(태블릿, 이어폰 등) 구매 불가.

4. 신청 방법 및 기간


신청 기간

  • 1차 모집(일반·장애인 이용권): 2025년 4월 24일(목) 10:00 ~ 5월 14일(수) 18:00
  • 디지털·노인 이용권: 6월 중 별도 공고 예정.

신청 방법

  • 일반 이용권: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www.lllcard.kr/seoul)
  • 장애인 이용권: 보조금24 누리집(www.gov.kr)
  • 디지털·노인 이용권: 6월 중 공고 후 신청 가능.

5. 선정 및 이용 절차

  1. 신청 접수: 지정된 누리집에서 신청.
  2. 대상자 선정: 자격 검증 및 무작위 추첨으로 선정.
  3. 카드 발급: NH농협 채움카드로 발급.
  4. 교육비 결제: 사용기관에서 결제 후 강좌 이수.

선정 결과 발표: 5월 말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및 개별 안내.

6. 유의사항 및 문의처

유의사항

  • 본인 명의로만 사용 가능, 가족 등 제3자에게 양도·대여 불가.
  • 성인 대상 강좌에 한해 사용(만 19세 미만 강좌 이용 불가).
  • 지역별 세부 내용이 다를 수 있으니, 거주지 지자체 공지사항 확인 필수.

문의처

  •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1551-4777
  •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 www.lllcard.kr/seoul
 

평생교육이용권 - 서울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www.lllcard.kr

7. 자주 묻는 질문 Q&A

Q1. 평생교육 이용권으로 어떤 강좌를 들을 수 있나요?
A1. 자격증(컴퓨터활용능력, 회계 등), 어학(영어, 중국어 등), 창업, 인문학 등 평생교육이용권 사용기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강좌를 수강할 수 있습니다. 단, 만 19세 미만 대상 강좌는 이용 불가합니다.
Q2. 카드 발급은 언제쯤 받을 수 있나요?
A2. 1차 모집 선정 결과는 5월 말 발표되며, 이후 NH농협 채움카드로 발급됩니다. 개별 안내를 통해 정확한 발급 일정을 확인하세요.
Q3. 서울 외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나요?
A3. 네, 평생교육이용권 사용기관이라면 서울뿐만 아니라 타 시·도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처는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
Q4. 지원 금액 35만 원을 초과하면 어떻게 되나요?
A4. 35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본인이 부담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40만 원 강좌 수강 시 5만 원은 본인 지불입니다.
Q5. 신청 후 자격 검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A5. 신청자의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여부 등을 지자체와 관련 기관에서 검증하며, 자격 요건 충족 시 무작위 추첨으로 최종 선정됩니다.

8. 평생교육 이용권으로 새로운 배움의 기회

2025 교육 소외계층 평생교육 이용권은 저소득층, 장애인, 노인 등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연간 35만 원의 교육비를 지원합니다. 자격증, 어학, 인문학 등 다양한 강좌와 교재비로 활용 가능하며, 2025년 4월 24일부터 5월 14일까지 1차 신청이 진행됩니다. 유형별 신청 방법이 다르니, 서울시 평생교육이용권 누리집에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반응형